Metal Fabrics for architecture (건축용 메탈패브릭)의 등장은 1993년에 그 당시까지는 경험하지 않았던 색다른 시도가 그간 산업용으로 주로 사용되어 왔던 stainless steel wire mesh 재료에 대해 세계 건축계에 눈을 뜨게 하였습니다.
프랑스의 건축가인 Dominique Perrault(도미니크 페로)가 독일 GKD에 건축용 메탈패브릭을 설계 중인 프랑스 국립 도서관 (Bibliotheque Nationale de France) project에 반짝이는 stainless steel wire mesh가 도발적인 design의 천장, 벽체 cladding, partition과 sunscreen design에 독일GKD의 당시 CEO 이었던 Dr. Stefran Kufferath의 제의로 처음 시도 되었습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키 위하여 오랜 세월동안 혁신적인 제품의 conveyor belt와 여과기, 분리 용도로, 항공우주, 전자, 자동차, 화학, 환경보호, Food processing등의 고객들에게 공급되어 왔던 세계 유수의 Wire mesh 생산자인 GKD Gebr Kufferath GmbH는 이러한 분야에서 적용되는 동안 광범위하게 축적되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건축 design용도의 Metal fabrics을 생산하는 Business unit를 설립하였으며 이에 따라 충분한 건축학적 기능과 미학적 표현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재료를 개발, 이용하기 위한 CREATIVE WEAVE metal fabrics 제품이 소개되게 되어 15년이 지난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천정, 벽체, 외관 facade, carpeting, partition, monument, screen wall, staircase cladding에 적용된 창조적인 개념은 현대 건축에 새로운 약동 적인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독일 GKD Kufferath GmbH회사의 CREATIVE WEAVE metal fabric은 Glass, Stainless steel 재료로 대변되는 현대 Aerospace Age의 건축가들의 미학적 추세에 부응하는 최선의 제품으로 인정 받아 전세계 4,500개 실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기,전자와 결합한 미디아메쉬(세계특허)까지 개발하여 건축가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건축용메탈패브릭을 보고, 한국의 모업체에서 Copy(짝퉁)을 만들었지만, 정교한직조, 균일한 표면처리등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여, 중국제 보다도 못한 조악한 제품으로 시공된 건물의 건축주 및 설계 디자이너로 부터 많은 실망을 주고 있는 실정입니다.
아래 사진은 국내 D사 제품입니다.
세로선의 와이어로프(Cable)에 굵은선이 발생한 것은 균일한 피치가 아니기 때문이며
가운데 와이어로프가 풀림.
피치의 분균일로 인하여 세로방향의 와이어가 많이 휘어져 있다.
균일한제작이 안되어 와이어로프가 지렁이 모양과 흡사하며 게이블에 많은 얼룩이 있음.
메탈패브릭의 표면처리가 일정하지 않아 색상이 틀리게 보임. (국내 D사 제품)
메탈패브릭을 건축에 사용하고자 할 경우 정확히 알고 쓰시길 바랍니다.
피치가 일정하여야 일정하게 Tension을 줄 수 있고 그런 경우가 아닌 경우 강풍에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KS규격에 Pitch에 대한 규정이 없습니다.
독일에서는 Pitch ± 0.2mm 이하에 규정에 따라 만들어 집니다.
독일의 벤츠,BMW, 아우디가 왜! 세계적인 명품차가 되어겠습니까?
'메탈패브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탈패브릭- 디자인메쉬 (0) | 2008.03.25 |
---|---|
메탈패브릭 천정 (0) | 2008.03.25 |
메탈패브릭 구체형(3D) (0) | 2008.03.25 |
메탈패브릭 일본 설치 사례 (0) | 2008.03.25 |
메탈패브릭 미국 설치 사례 (0) | 2008.03.22 |